(사진출처: 넷플릭스 제공)
넷플릭스 예능 ‘흑백요리사: 요리 계급 전쟁’이 2024년 9월 17일 공개된 이후 10월 8일 최종 우승자 발표와 함께 막을 내렸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공개 직후 넷플릭스 비영어권 TV 시리즈 부문에서 3주 연속 1위를 기록하며 뜨거운 화제를 모았으며, 이는 넷플릭스 코리아 예능으로서는 최초의 기록이기도 합니다.
‘흑백요리사’는 단순한 요리 경연이 아닙니다. 무명의 80명 ‘흑수저’ 셰프와 이미 요식업계에서 명성을 얻은 20명의 ‘백수저’ 셰프가 맞붙는 서바이벌 예능으로, 요리를 통해 실력을 증명하는 동시에 사회적 메시지를 담아냈습니다. 출연자들은 단순히 요리를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쌓아온 경험과 노력을 한 접시에 담아냈으며, 이를 통해 시청자들에게 깊은 감동을 선사했습니다.
백수저, 흑수저로 ‘흑백요리사’만의 요리 계급 전쟁
이 프로그램의 가장 큰 특징은 흑수저와 백수저라는 계층 구도입니다. 백수저 셰프들은 이미 업계에서 큰 명성을 얻은 거장들입니다. ‘미국 아이언 셰프 아메리카 시즌8’의 우승자 에드워드 리, 세계 중국 요리협회 부회장이며 국제심사위원인 여경래, 한식대첩 심사위원 최현석, 한국 최초의 여성 중식 스타 셰프 정지선 등이 출연해 요리 대결의 수준을 한층 높였습니다.
반면, 흑수저 셰프들은 ‘중식 여신’, ‘급식 대가’, ‘요리하는 돌아이’, ‘철가방 요리사’ 등 개성 넘치는 닉네임을 사용하며 방송 이전까지는 잘 알려지지 않았던 인물들입니다. 이들이 백수저 셰프들과 맞붙으며 펼치는 치열한 대결은 자연스럽게 현실 사회의 계층 간 격차를 떠올리게 합니다.
심사위원이 “룰에 반대하는 사람은 떠나도 좋다”고 말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자리를 떠나는 이는 없었습니다. 오직 실력으로 인정받겠다는 참가자들의 태도는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요구하는 공정성에 대한 기대와 동시에 그 이면의 씁쓸한 현실을 보여주었습니다.
백종원, 안성재 쉐프의 오직 ‘맛’으로만 평가하는 심사 방식
심사 방식은 지극히 단순합니다. 심사위원 두 명이 참가자의 음식을 시식한 뒤 생존, 보류, 탈락을 결정합니다. 출신이나 경력, 만든 음식의 스타일도 중요하지 않습니다. 오직 ‘맛’이 유일한 평가 기준이었습니다.
특히 백종원 셰프가 안대를 착용한 채 오로지 ‘맛’만으로 음식을 평가하는 장면은 프로그램의 정체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순간이었습니다. 이러한 심사 방식은 ‘흑수저도 실력만 있다면 백수저를 이길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하며, 많은 시청자들에게 대리 만족과 감동을 선사했습니다.
특히 ‘철가방 요리사’와 ‘여경래 셰프’의 중식 대결은 프로그램의 백미였습니다. 결과는 2:0. 무명의 흑수저가 중식 대가를 이기는 장면은 많은 이들에게 짜릿한 전율을 안겼습니다.
‘맛’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멋’
‘철가방 요리사’는 대결 전 여경래 셰프에게 절을 올리며 존경심을 표했고, 승리 후에도 큰절로 예를 다했습니다. 이에 여경래 셰프는 따뜻한 악수와 박수로 화답하며, 단순한 승패를 넘어 인간적인 ‘멋’을 보여주었습니다. 이는 단순한 요리 대결이 아니라, 각자의 삶이 깃든 음식을 통해 ‘요리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지는 순간이기도 했습니다.
팀전으로 바뀐 후 드러난 또 다른 현실
프로그램 후반부에서는 개인 대결이 끝나고 팀 대결로 전환되었습니다. 그러나 4라운드에서 도입된 ‘팀 방출 룰’은 큰 논란을 불러일으켰습니다.
혼합 팀으로 구성된 참가자들은 하루 전 메뉴와 재료까지 모두 준비한 상태에서 갑작스럽게 ‘가장 도움이 안 되는 팀원을 한 명 방출하라’는 미션을 받았습니다. 자진해서 나간 참가자도 있었지만, 안유성 셰프는 팀원들의 투표로 인해 탈락하게 되었습니다.
방출된 셰프 세 명은 별도의 팀을 꾸려 레스토랑을 운영해야 했지만, 인력과 시간이 부족했고, 그에 대한 보상도 없었습니다. 이에 대해 많은 시청자들이 ‘과연 이 방식이 공정한가’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요리 서바이벌 프로그램 전략, 그리고 생존
최현석 셰프는 “여긴 특수한 상권이에요”라며 고급 메뉴인 ‘랍스터 마라짬뽕’, ‘캐비어 알밥’을 선택했습니다. 방송국 측에서 식재료 비용을 부담할 것이라는 점을 고려해 매출 극대화를 노린 전략이었습니다. 그의 팀은 결국 매출 1위를 기록하며 전원 생존에 성공했습니다.
반면, 새롭게 팀을 꾸린 ‘철가방 요리사’와 안유성 셰프 등은 재료 수급에서부터 난관에 부딪혔고, 체계적인 전략 없이 운영한 식당은 결국 가장 낮은 매출을 기록하며 탈락하게 되었습니다.
백종원 셰프가 잔반 처리장에서 남은 음식을 맛보고, 정지선 셰프가 잔반통을 들여다보며 피드백을 남기는 모습은 요식업계의 현실을 그대로 반영하는 장면이었습니다. 프로그램이 보여준 것은 결국 ‘맛’만으로는 살아남을 수 없는 요식업의 냉혹한 현실이었습니다.
넷플릭스 흑백요리사 시즌2를 기대하며
‘흑백요리사’는 단순한 요리 경연을 넘어, 계층 이동, 공정성, 인간의 욕망, 그리고 생존이라는 묵직한 주제를 담아낸 프로그램이었습니다.
시즌1의 큰 성공으로 인해 시즌2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시즌1에서 논란이 되었던 팀전 방식이 개선될지, 또 어떤 새로운 도전자들이 등장할지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이제, 여러분은 어떤 ‘맛’을 선택하시겠습니까?